증여세 신고기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모님으로 부터 만약 5천만원 이상 대가 없이 받게 될 경우 우리는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다만 증여세는 신고기한이있는데요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20%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지금부터 증여세 신고기한, 그리고 납부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세의 신고기한은 총 4가지로 구분되지만 신고기한은 모두 3개월로 봅니다. 다만 어떠한 유형의 증여세냐에따라 법정 신고기한이 각각 달라집니다. 만약 부동산을 증여받았을 경우에는 등기부등본산 등기접수일을 증여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을 아래 표를 통해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증여세 신고기한을 계산할 경우에는 증여일이 11월 9일일 경우 11월에 속해있는 달의 마지막 날로부터 3개월, 즉 2월 28일까지 증여세를 필히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또한 신고기한 준수 시 3%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이 증여세 신고기한을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증여의제 의외의 증여,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이익의 증여의제, 특수관계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 특수관계법인으로부터 제공받은사업기회로 발생한이익의 증여의제(일감 떼어주기) 등으로 4가지 유형이 구분되며 이에 따른 필요서류와 증여일이 각각 다르므로 위 표를 참고하시어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분납
만약 증여받는 과세표준이 많아서 증여세가 1천만원 이상 나오는 경우에는 이 금액을 분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신고서 분납 란에 기재하여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또한세금이 2천만원 이상될 경우에는 일정 금액씩 나누어 낼 수 있는 연부연납도 가능합니다.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증여는 몇 가지 신고서를 작성해야 하며 이는 보통 세무서를 통해 진행되는데요 기본세율이 적용되는 증여세 신고서 작성의 경우 증여세 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 계산서, 증여재산 및 평가 명세서, 채 무 사실 등 그 밖의 입증서류 등이 필요합니다.
아래 서식을 참고하시어 관련 필요 서류를 작성하고 세무서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증여세 온라인 신고
증여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를 이용하시어 신고도 가능합니다. 내 신고 유형에 맞게 신고서를 작성하시고 증여세를 아래 버튼을 통해 신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신고는 재산을 증여받은 수증자만 진행하시면 되며, 법정 신고 기간 내에 신고할 경우 정기신고, 그리고 기한을 경과할 경우에는 기한 후 신고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최신)
보유하고 있는 주택이나 토지의 가액이 일정 규모 이상이 될 경우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이 됩니다. 오늘은 그 기준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어떤 분들이 내는
sparkling-wine.tistory.com
재산세 납부일
오늘은 재산세 납부일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을 갖고 있는 분들은 재산세를 필수적으로 납입해야 하는데요 일정금액이상 이신 분들은 1기분과 2기분으로 나누어 납부하고 있
sparkling-wine.tistory.com
1가구 2주택 보유세 (세율)
오늘은 1가구 2주택 보유세에 대하여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가구 2주택의 경우 주택가액과 위치에 따라 보유세가 달라지게 되는데요, 과연 어느정도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
sparkling-wine.tistory.com